오늘은 3일차에 이어 자료형에 대해 공부 하겠다.


#문자열 연산자


1. 문자열 연결 연산자

문자열을 연결하는 연산자는 + 기호를 사용한다. "문자열" + "문자열" 의 형태로 사용된다.

ex) "안녕" + "하세요"


2. 문자열 반복 연산자

문자열을 반복하는 연산자는 * 기호를 사용한다. 문자열과 숫자를 곱하거나 숫자와 문자열을 곱할 수 있다.
"문자열" * "숫자", "숫자" * "문자열" 의 형태로 사용된다.

ex) "안녕" * 3 
     3 * "안녕"


3. 문자 선택 연산자

문자 선택 연산자는 문자열에서 특정한 위치의 문자를 선택해 추출한다. 문자열[숫자] 형태로 사용하며, 0번째부터 시작한다. 또한 [숫자] 에 음수를 사용하면 문자열의 뒤에서부터 선택할 수 있다.

"안녕하세요"[숫자]
ex)


"안녕하세요"
0번째 : 안
1번째 : 녕
2번째 : 하
3번째 : 세
4번째 : 요

 

"안녕하세요"
-1번째 : 요
-2번째 : 세
-3번째 : 하
-4번째 : 녕
-5번째 : 안

4. 문자열 범위 선택 연산자

문자열 범위 선택 연산자는 문자열의 일부를 추출하는데 사용되며, 각 숫자는 문자열의 범위와 간격을 의미한다. 

먼저 문자열[숫자A:숫자B] 생긴 형태부터 알아보겠다. 
이 형태의 문자열은 숫자A번째부터 숫자B번째까지 선택하여 출력한다. 
여기서 주의할 점은 숫자B는 포함하지 않는다는 것이다. 즉, 숫자A ≤ 선택 범위 < 숫자B -1

ex)
"안녕하세요"[0:3

 

[0]에서부터 [3-1인 2]까지인 '안녕하' 가 도출된다

또한 이 형태의 문자열 범위 선택 연산자는 괄호 안에 넣는 숫자 중 하나를 생략하는 형태로도 사용할 수 있다. 
문자열[ :숫자B] 또는 문자열[숫자A: ] 과 같은 형태로 사용할 수 있다. 
앞의 값을 생략할 경우 가장 앞쪽에서 부터 [숫자B - 1] 까지 출력되고, 뒤의 값을 생략할 경우 [숫자A] 에서부터 끝까지 출력된다. 

ex)
"안녕하세요"[ :3]
"안녕하세요"[3: ] 

 


다음 문자열[숫자A:숫자B:숫자C] 형태에 대해 알아보겠다.
숫자A는 범위의 시작, 숫자B는 범위의 끝 그리고 숫자C는 간격(스탭)을 의미한다. 
주의할 점은 여기서 또한 숫자B는 포함되지 않는다는 것이다. 

ex)
"1234567890"[1:7:2]


간격은 [1]에서부터 [7-1]까지인 '234567'이 해당되고, 간격이 2이므로 '246' 값으로 도출된다. 

# 용어 정리 
인덱스 : 위치를 나타내는 숫자
스텝: 간격

문자열[인덱스] -> 인덱싱
문자열[인덱스:인덱스] -> 슬라이싱
문자열[인덱스:인덱스:스텝] -> 슬라이싱

※ 고급 슬라이싱
역순 슬라이싱 : "문자열"[ : :-1]의 형태이다. 이 경우 간격을 -1로 지정하여 문자열을 역순으로 추출한다. 

ex)
"1234567890"[ : :-1] 

 

"문자열"[ : :-1]의 형태이므로 간격을 -1로 지정하여 문자열을 역순으로 추출하여 '0987654321'이 도출된다.

 

"위대한 여정은 작은 발걸음에서 시작된다." - 라오쯔

+ Recent posts